기본이론 Home > 노무사 > 1차과정 > 기본이론 > 기본이론 단과

교수 |
권희창
![]() |
강의구성 | 총 47강/진행중 |
---|---|---|---|
과목 | 노동법1 | 촬영학원 | 서울법학원 |
강좌유형 | 이론강의 | 수강료/기간 | 166,400 원/80일 |
샘플강의 | 1강 맛보기 (HD) |
- - 개정판 출간예정, 2주차 까지는 프린트로 진행, 3~4주차에 출간 예정
번호 | 학습내용 | 시간 | 샘플강의 |
---|
교수 | 권희창 |
---|---|
인사말 | 안녕하세요. 노동법을 강의하는 권희창 노무사 입니다. 시험에 나올 핵심위주로 여러분을 합격으로 이끌어 드립니다. 시험준비는 물론 실무의 다양한 노하우도 배워가실 수 있습니다. |
교수주요경력 |
-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경영학 석사) - 전국경제인연합회 근무(주식회사 환태평양 무역근무) - 제15회 공인노무사 합격 - (現) 서울법학원 노동법전임 - 노무법인 신성 대표 |
주교재 소개 |
|
---|---|
주교재 특징 |
■ 책소개 공인노무사 1차 노동법 시험대비 이 책으로 공부하는 모든 수험생의 공인노무사 최종합격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최신 및 기출 대법원 판결과 개정 법령 반영 최신 및 기출 대법원 판결과 개정 법령을 반영하였습니다. 2024년 공인노무사 1차 시험부터 과목별 40문제로 늘어나고, 부속 법령의 출제비중이 대폭 증가하여 노동법(1)은 40문제 중 21문제, 노동법(2)는 40문제 중 16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본 교재의 절대적인 분량이 이전보다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 부속 법령 문제 출제문항 수의 증가 및 출제 난이도 상승 부속 법령 문제 출제문항 수의 증가와 함께 지금까지 출제된 적이 없었던 조문과 시행령이 출제되어 노동법의 전체적인 출제 난이도는 상승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올해 시험 정도의 출제 비중과 난이도가 유지되리라고 판단되므로 이런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대비가 필요할 것입니다. ▷ 노동법의 전체적인 이해와 1·2차 연계 학습을 위한 서술식 구성 이 책은 노동법의 전체적인 이해와 1·2차 연계 학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서술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론과 일부 부속 법령을 제외하면 공인노무사를 준비하는 수험생뿐만 아니라 7급·9급 공무원 시험도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출판사 리뷰 (주)박문각출판에서 '2025 공인노무사 1차 신노동법 기본서(제1판)' 신간 교재가 출간되었습니다. 본서는 최신 및 기출 대법원 판결과 개정 법령을 반영하였습니다. 2024년 공인노무사 1차 시험부터 과목별 40문제로 늘어나고, 부속 법령의 출제비중이 대폭 증가하여 노동법(1)은 40문제 중 21문제, 노동법(2)는 40문제 중 16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본 교재의 절대적인 분량이 이전보다 다소 증가하였습니다. 부속 법령 문제 출제문항 수의 증가와 함께 지금까지 출제된 적이 없었던 조문과 시행령이 출제되어 노동법의 전체적인 출제 난이도는 상승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올해 시험 정도의 출제 비중과 난이도가 유지되리라고 판단되므로 이런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대비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 책은 노동법의 전체적인 이해와 1·2차 연계 학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서술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론과 일부 부속 법령을 제외하면 공인노무사를 준비하는 수험생뿐만 아니라 7급·9급 공무원 시험도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수험생 여러분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
주교재 목차 |
■ 목차
공인노무사 신노동법 기본서 PART 01 노동법 총론 Chapter 01 총설 Chapter 02 노동법의 연혁 Chapter 03 노동기본권 Chapter 04 노동3권의 제한 PART 02 개별적 근로관계법 Chapter 01 근로기준법 Section 01 근로기준법 총칙 Section 02 근로계약 Section 03 근로관계의 변경 Section 04 근로관계의 종료 Section 05 임금 Section 06 근로시간 Section 07 휴게·휴일·휴가 Section 08 여성과 소년 Section 09 취업규칙 Section 10 직장 내 괴롭힘 Section 11 기숙사제도 Section 12 근로감독관 Section 13 재해보상 Chapter 02 최저임금법 Chapter 03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Chapter 04 산업안전보건법 Chapter 05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Chapter 06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Chapter 07 직업안정법 Chapter 08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Chapter 09 임금채권보장법 Chapter 10 근로복지기본법 Chapter 11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PART 03 집단적 노사관계법 Chapter 0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Section 01 총설 Section 02 노동조합 Section 03 단체교섭 Section 04 단체협약 Section 05 쟁의행위 Section 06 노동쟁의조정 Section 07 부당노동행위 Chapter 02 노동위원회법 Chapter 03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Chapter 04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Chapter 05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